티스토리 뷰
목차
전월세 계약할 때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헷갈리셨죠?
솔직히 말하면 저도 처음 자취방 구할 땐 “계약서만 쓰면 끝 아닌가?” 싶었어요.
근데 막상 계약하려니까 서류 챙길 것도 많고, 뭔 말인지 잘 모르는 항목도 있어서 불안하더라고요.
그래서 오늘은, 전세든 월세든 계약 전에 꼭 확인하고 준비해야 할 서류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이 글 하나면 처음 계약하시는 분도 문제없어요!
전월세 계약 시 필요한 서류 체크리스트 ✅
아래 서류들은 임차인(세입자)과 임대인(집주인) 양쪽 모두가 준비하거나 확인</strong해야 할 항목들입니다.
1. 공통 필수 서류
- 임대차 계약서 (3부) – 집주인, 세입자, 공인중개사가 각각 보관
- 등기부등본 – 집주인이 맞는지, 근저당은 없는지 확인 (계약 전 필수!)
- 건축물대장 – 건물 용도 및 불법 여부 확인
- 신분증 사본 – 계약 당사자 확인용 (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필요)
2. 임차인(세입자)이 준비할 서류
- 인감증명서 or 서명 확인서 (특약사항 요구 시)
- 주민등록등본 –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부여 시 사용
- 도장 or 서명 – 계약서 날인용
3. 임대인(집주인)이 제공해야 할 서류
- 신분증 사본
- 등기부등본 원본 – 최근 1주 이내 발급된 것
- 임대차계약 신고서 – 30일 이내에 임대인 또는 중개사가 신고
4. 전입신고 & 확정일자 관련 서류
계약 후에는 아래 두 가지도 꼭 챙기셔야 합니다:
- 임대차 계약서 원본 –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부여 시 필요
- 신분증 + 도장 – 주민센터 방문 시 지참
📌 TIP: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보증금을 법적으로 보호받는 유일한 방법이에요!
꼭 계약 다음날 바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추가로 확인하면 좋은 것들
- 관리비 납부 내역 – 연체 여부나 평균 금액 확인
- 중개업소 등록번호 & 공인중개사 자격증 – 믿을 수 있는 중개사인지 확인
- 하자 유무 사진 촬영 – 입주 전 사진은 필수! 나중에 분쟁 예방
정리하며 – 서류만 제대로 챙겨도 반은 성공!
전월세 계약에서 가장 큰 실수는 “그냥 믿고 계약하는 것”이에요.
서류를 직접 확인하고, 복사본이라도 받아두는 습관을 꼭 들이세요.
특히 등기부등본 + 확정일자는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핵심 키포인트입니다.
그리고 계약이 끝났다고 끝난 게 아니라, 전입신고까지가 진짜 계약 마무리!
함께 보면 좋은 글
부동산 매매계약서 작성시 핵심항목 5가지
처음 집 사거나 팔 때 매매계약서 쓰는 게 생각보다 어렵고 복잡하죠. “이게 뭐가 이렇게 많아?” 싶은 복잡한 조항들에… 괜히 사인부터 했다가 낭패 보면 어쩌지? 이런 걱정도 들더라고요.그
kyoungwebsite.com
건축물대장에서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
처음 부동산 계약 준비할 때, 건축물대장은 다들 보라고 하는데... 정작 뭘 봐야 하는지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죠?실제로 많은 분들이 등기부등본은 익숙한데, 건축물대장은 생소하다고 하시더라
kyoungwebsite.com
'부동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등기부등본 보는법 완전정리 (1) | 2025.06.27 |
---|---|
신혼부부를 위한 주거 지원 예비부부도 체크해 보세요 (4) | 2024.08.28 |
청년을 위한 주거 공간 대학생 주거지원 신청자격 지원내용 (0) | 2024.08.26 |
장마철 대비 주택 아파트 점검 세부 사항 알아두자 (0) | 2024.07.10 |
좋은 주택 아파트 구입시 필수 확인사항 어떤걸까요 (0) | 2024.07.01 |